최신글
-
환경이야기 드론을 이용한 인공강우 실험 2일 강원 평창군 구름물리선도관측소에서 무인기(드론) 1대가 날아올랐다. 곧 지상 30m 높이까지 떠오른 드론에서 불꽃이 튀더니 연기가 나기 시작했다. 드론이 하늘에 ‘구름씨’를 뿌리는 모습이다. 구름씨로는 요오드화은,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등 물질이 이용된다. 비가 내릴락 말락 하려는 구름에 이렇게 구름씨를 뿌려주면 주변의 수분 알갱이가 달라붙는 씨앗 역할을 해 물방울이 된다. 물방울은 점점 무거워지면서 땅으로 떨어져 내려 비 또는 눈이 된다. 인간이 개입해 인공적으로 비나 눈이 내리게 하는 기술을 ‘인공강우’라 한다. 우리나라는 2006년 대관령에 구름물리선도센터가 생기고, 2017년 기상 항공기가 국내에 들어오면서 인공강우 기술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기상 항공기를 띄우면 항공기 양 날개에서..
-
환경이야기 ‘폐플라스틱’ 가스-액화 원료로 다시 사용 매년 전 세계에서 약 3억5000만 t이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문제는 이미 전 지구적인 과제다. 폐플라스틱을 분쇄해 세척한 뒤 다시 사용하는 ‘물리적 재활용’이 일반적이지만 최근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폐플라스틱을 가스나 액화 상태의 원료로 만들어 영구적으로 재활용하는 ‘화학적 재활용’ 방법이 급부상하고 있다. 일각에서 온실가스 배출, 안전성 문제 등을 제기하며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나오지만 관련 산업이 국내에서도 빠르게 성장하는 분위기다. ● 화학적 영구 재활용 급부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22년 발표한 ‘글로벌 플라스틱 전망’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활용률은 9%에 불과하다. 대부분 매립되거나 폐기되고 일부는 소각된다. 재활용률이 낮은 이유는 물리적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만 수거하고..
-
환경이야기 국내 첫 기후소송 공개변론…“한국, 온실가스 감축 책임 방기”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부족해 국민 기본권 보호 의무를 위반하고 후세대에게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 대 ‘무리한 탄소배출 감축 목표는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고, 기업경쟁력 약화와 고용 불안을 초래할 수도 있다.’ 23일, 서울 재동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한국 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이 헌법에 합치하는지를 묻는 국내 최초의 ‘기후소송’ 공개변론이 시작됐다. 이날 변론은 2020년 3월31일 청소년 환경단체인 ‘청소년기후행동’이 낸 헌법소원과 이후 시민·영유아 등이 청구한 다른 3건의 기후소송이 병합돼 진행됐다. 이종석 헌재소장은 이날 공개변론을 시작하며 “기후소송인 이 사건의 주된 쟁점은 정부가 정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불충분해 청구인들의 환경권 등 기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라고 밝혔다. 이 소장..
인기글
-
고양이 관련 정보 육묘 상식 우리집 러시안블루 사실은 다른 품종이라고? (feat.코랫) 지금까지 러시안블루라고 알고 있던 우리집 고양이가 사실은 러시안블루가 아닌 다른 품종일 수 있다는 생각해보신적 있나요? 오늘은 러시안블루와 많이 헷갈리는 코랫과 러시안블루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볼까합니다. 러시안블루와 비슷한 다른 품종들은 러시안블루는 '블루' 모색을 가진 고양이로 짙은 회색털을 가진 고양이입니다. 다만 이 짙은 회색털이 러시안블루에게서만 나타나는 고유 특성은 아니라 다른 품종에서도 무늬가 없는 회색 털이 나타날 수 있어요. 그래서 다양한 털색이 나타나는 다른 품종의 고양이를 러시안블루로 헷갈리기도 하고 러시안블루처럼 '블루'모색만 나오는 다른 품종의 고양이가 러시안블루로 혼동되기도 합니다. 위의 이미지의 고양이들은 러시안블루와 혼동하기 쉬운 외향을 가진 품종의 고양이들인데요. 특히 러시안..
-
고양이 관련 정보 육묘 상식 고양이는 집사의 임신을 알까? 집사가 임신한 후 좀 더 애교스러운 성격으로 고양이의 행동이 변화거나 출산이 다가올 수록 고양이가 더 살갑게 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과연 고양이는 집사가 임신했다는 사실을 알고 이러한 행동을 하는 걸까요 ? 고양이가 집사의 임신 사실을 알 수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별로 의견이 다르지만 고양이가 집사가 임신했다는 사실을 알아차릴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이유는 바로 고양이의 뛰어난 후각 때문인데요. 고양이는 개에 비해서는 후각이 뛰어나지 않지만 사람보다는 훨씬 뛰어난 후각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호자가 임신을 하게 되면 '호르몬의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데요. 임신을 하게 되면 임신을 유지하고 출산을 돕기 위해서 여성의 신체에는 굉장한 호르몬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중..
-
고양이 관련 정보 육묘 상식 고양이 코에 까만 점 ? 입천장에 생기는 검은 점 ? 왜 생길까 어렸을 때는 분명히 핑크빛이 감도는 분홍색 코였는데, 어느날 갑자기 고양이의 분홍색 코에 까만 반점 같은것이 생겨났을 때, 간혹 이것이 암이 아닐까 걱정하는 보호자분들도 계신데요. 고양이도 사람처럼 몸에 점이 생길 수 있답니다. 특히 코나 입 안쪽에 많이 눈에 띄는데요, 이러한 고양이의 까만 점은 왜 생기는 걸까요 ? 고양이 코에 까만점은 유전형질 때문 고양이 코에 생기는 까만 점은 유전형질 때문인데요. 점은 흑갈색 세포인 멜라닌 세포에 의해 생성됩니다. 점은 이 멜라닌 색소가 다른 부분보다 많은 부위에 생성되게 되는데 그래서 주로 멜라닌 색소가 많은 코나 입 안쪽에 많이 생기게 되죠. 특히나 이 부분은 육안상으로도 눈에 띄는 부분이기 때문에 다른 곳보다 보호자가 발견하기가 쉽기도 하구요. 이 점은 외형..